본문 바로가기
Living

평균실종이란, 대한민국 평균실종 시대

by Tepestry of Life 2023. 1. 5.
반응형

현재 대한민국에서는 새로운 세대 유형이 나타나고 있다. 

바로 ‘평균실종’이라는 신조어다. 

이러한 현상은 사회 전반적으로 퍼져나가고 있으며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나타나는 공통된 현상이다. 

그렇다면 왜 사람들은 점점 더 나 자신만의 개성을 추구하며 타인과의 다름을 인정하기 시작했을까? 

또한 현대사회 속에서의 변화되는 개인주의 성향은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 걸까?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평균’이라는 단어가 사라지고 대신 ‘중간값’ 혹은 ‘중앙값’이라는 단어가 대체되고 있다. 

왜 이러한 현상이 발생했을까? 

우선 첫 번째로는 표본집단의 크기가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과거와는 다르게 요즘엔 인터넷 기술의 발달로 인해 방대한 양의 데이터 수집이 가능해졌다. 이로 인해 특정 집단뿐만 아니라 전체 국민 대상으로도 통계자료를 낼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모든 사람들은 아니지만 대다수의 사람들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게 되었고 이를 통해 중간값 즉 중앙값 개념이 도입되게 된 것이다.

 

하지만 여기서 문제가 발생한다. 바로 양극화 현상이다. 쉽게 말해 빈부격차가 심화되면서 소득수준 상위층과 하위층 사이에서도 편차가 크게 나타나고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월소득 500만 원 이상 고소득자 비율 같은 경우 5년 전과 비교했을 때 무려 2배 가까이 증가했지만 반대로 100만 원 이하 저소득자 비율도 동일 기간 동안 큰 폭으로 증가했다는 것이다.

또한 연령별로도 10대~30대 초반 젊은 층보다 40대 이후 중장년층에서의 학력 수준이 더 높게 나타나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이렇듯 세대 간 그리고 계층 간 격차가 점점 심해지고 있고 이것이 곧 사회문제로 대두될 조짐마저 보이고 있다. 앞으로 정부 차원에서 보다 근본적인 해결책 마련이 필요하게 될 것이라 생각한다.

반응형

댓글